본문 바로가기
육아 궁금증

물건을 던지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by @ROHA 2025. 9. 9.
반응형

 

물건을 던지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은 부모를 당황하게 만들지만, 사실 이는 아이가 성장하면서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아이의 물건 던지기 행동은 단순한 장난을 넘어 다양한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런 행동의 근본적인 원인을 이해하고 올바르게 대처하면 아이의 건강한 발달을 도울 수 있습니다.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이유

  • 호기심과 탐색: 아이들은 물건이 던져졌을 때 나는 소리, 날아가는 모양, 떨어지는 위치 등을 관찰하며 즐거움을 느낍니다. 이는 중력의 법칙이나 물체의 특성을 배우는 초기 단계의 과학적 탐구 활동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팔과 손의 근육을 조절하는 능력, 즉 대근육과 소근육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놀이이기도 합니다.
  • 감정 표현의 미숙: 아직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데 서툰 아이들은 좌절감, 분노, 짜증, 답답함 등을 물건을 던지는 행동으로 표출하기도 합니다. 특히 원하는 것이 있을 때 부모가 들어주지 않거나, 장난감이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이런 행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화가 나'라는 감정을 ‘물건을 던진다’는 행동으로 대신하는 것입니다.
  • 관심을 끌려는 욕구: 아이가 물건을 던졌을 때 부모가 소리를 지르거나 달려와서 크게 반응하면, 아이는 '이 행동을 하면 엄마(아빠)가 나를 봐주는구나'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아이에게는 긍정적인 관심이든 부정적인 관심이든 모든 관심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러한 행동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단계별 대처 방법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행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대처가 가장 중요합니다.

1단계: 즉각적이고 단호하게 제지하기

  • 아이가 위험한 물건이나 음식 등을 던지려고 할 때는 즉시 "던지면 안 돼!"라고 짧고 단호하게 말해주세요. 이때 아이의 팔을 부드럽게 잡아서 행동을 멈추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단호한 태도는 필요하지만, 아이의 행동에 격한 감정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리를 지르거나 화를 내면 아이는 공포심을 느끼거나 부모의 반응에 재미를 느껴 행동을 반복할 수 있습니다.

2단계: 던져도 되는 환경 만들어주기

  • 아이에게는 던지고 싶은 욕구가 있다는 것을 인정하고, 그 욕구를 안전하게 해소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 가정 내에서 던져도 되는 장소던져도 되는 물건을 정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거실에서는 공 던지기 놀이를 할 수 있지만, 주방에서는 안 돼”라고 규칙을 정하거나, 던지기 놀이용으로 공, 헝겊 인형, 종이뭉치 등을 따로 마련해 주는 것도 좋습니다.

3단계: 감정 이해하기와 표현 방법 가르쳐주기

  • 아이가 감정을 주체하지 못해 물건을 던졌을 경우, 감정을 먼저 읽어주세요. "블록이 잘 쌓아지지 않아서 속상했구나" 혹은 "친구가 장난감을 가져가서 화가 났구나"와 같이 아이의 감정을 말로 표현해 줍니다.
  • 아이가 진정한 후, "화가 날 때는 물건을 던지는 대신 '화나요'라고 말해줄 수 있어"라고 감정을 올바르게 표현하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말로 표현했을 때 아낌없이 칭찬해 주는 것도 중요합니다.

4단계: 긍정적 행동 강화하기

  • 아이가 물건을 던지는 대신 놀이를 잘 마무리하거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긍정적인 행동을 보였을 때 즉각적으로 칭찬하고 격려해 주세요.
  • 칭찬은 아이에게 "물건을 던지는 것보다 이렇게 행동하는 것이 더 좋은 거구나"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올바른 행동을 반복하게 만드는 힘이 있습니다.

물건 던지기는 아이가 감정을 조절하고, 자신의 욕구를 표현하는 방식을 배우는 과정입니다. 인내심을 갖고 꾸준히 노력하면 아이는 점차 건강하게 성장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