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성홍열이란? 정의와 원인

by @ROHA 2025. 10. 24.
반응형

정의 및 원인

  • 정의: 고열, 목의 통증, 그리고 전신에 붉은 발진이 생기는 전염병입니다.
  • 원인: A군 용혈성 연쇄상구균(Group A beta hemolytic streptococcus) 감염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 세균이 만드는 발열성 외독소에 의해 증상이 나타납니다.
  • 주로 발생하는 연령대: 주로 3세 이상의 소아, 특히 10세 미만의 영유아에게서 발생하며, 늦은 겨울과 초봄에 유행하기 쉽습니다.

주요 증상

  • 잠복기: 1일에서 7일 정도입니다.
  • 초기 증상: 갑작스러운 고열(39~40℃), 인후통(목 통증), 두통, 구토, 복통 등이 나타나 감기와 비슷하게 보일 수 있습니다.
  • 발진: 증상 발현 후 12~48시간 후 몸통, 팔다리, 전신에 걸쳐 미만성의 선홍색 작은 구진 형태의 발진이 나타나며, 피부가 사포(sandpaper)처럼 거칠게 느껴집니다. 발진은 3~7일 내에 표피 박탈(껍질 벗겨짐)과 함께 사라집니다.
  • 혀의 변화: 혀가 부어오르고 붉어지며 작은 돌기가 돋아나는 '딸기혀'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타 증상: 입 주위가 창백해지고 얼굴은 붉어지며, 목의 임파선이 붓고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전파 경로

  • 환자나 보균자의 호흡기 비말(기침, 재채기)을 통한 직접 전파가 가장 많습니다.
  • 환자가 쓰던 물건 등을 통한 간접 접촉으로도 감염될 수 있습니다.

치료 및 예방

  • 치료: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빨리 진단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쇄상구균에 효과적인 항생제(주로 페니실린 또는 경구 아목시실린)를 보통 10일 동안 복용합니다. 증상이 좋아져도 의사가 지시한 기간 동안 항생제를 꾸준히 복용해야 합니다.
  • 격리: 항생제 치료 시작 후 24시간 동안은 전염성이 있으므로 격리가 필요합니다.
  • 예방:
    • 올바른 손 씻기와 기침 예절 등 개인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킵니다.
    • 장난감, 손잡이 등 환경 표면을 자주 청소하고 소독합니다.

합병증

  • 제대로 치료하지 않거나 항생제 복용을 중단할 경우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화농성 합병증: 중이염, 폐렴, 골수염, 수막염, 부비동염 등 이차성 세균 감염.
    • 비화농성 합병증 (감염 후 2~3주 후 발생 가능): 급성 사구체 신염, 류마티스열 등이 있습니다.

성홍열 의심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