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데노바이러스(Adenovirus) 정보
아데노바이러스는 호흡기, 눈, 소화관 등 신체의 여러 부위에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 그룹입니다. 특히 영유아와 소아에게서 흔하게 발생합니다.
1. 아데노바이러스란 무엇인가요?
- 특징: 아데노바이러스과(Adenoviridae)에 속하는 이중 나선 DNA 바이러스입니다.
- 이름 유래: 사람의 인두 편도(아데노이드, adenoid) 조직에서 처음 발견되어 '아데노바이러스'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 감염 부위: 호흡기, 눈, 위장관 등 다양한 부위에 감염을 일으키며, 50여 가지가 넘는 혈청형(serotype)이 알려져 있습니다.
2. 주요 증상
잠복기는 감염 경로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14일 정도입니다. 증상은 매우 다양하며, 감염된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염 부위 | 대표 증상 | 특징 |
---|---|---|
호흡기계 | 고열, 기침, 콧물, 인후통, 편도염, 폐렴 | 다른 바이러스성 폐렴보다 중증으로 진행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
눈 | 결막 충혈, 눈곱(분비물), 눈꺼풀 부종 | 흔히 '눈곱 감기'(인두결막열) 또는 '유행성 각결막염'으로 불립니다. |
소화기계 | 오심, 구토, 설사, 복통 | 위장관염 형태로 나타나며, 주로 40형, 41형 등이 원인이 됩니다. |
기타 | 출혈성 방광염 (혈뇨), 뇌수막염(드물게) |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원인 및 전파 경로
- 주요 감염 경로:
- 호흡기 비말: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배출된 바이러스 입자.
- 직접 접촉: 감염자와의 밀접한 접촉(악수, 포옹 등).
- 오염된 물건(매개물): 바이러스가 묻은 장난감, 수건, 문손잡이 등을 만진 후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는 경우.
- 분변-경구 경로: 주로 위장관 감염에서 나타나며, 기저귀 교체 후 손 위생 불량 등.
- 특이 전파 경로: 수영장 물을 통해서도 전파될 수 있습니다. (저농도 염소에 저항성이 있음)
4. 감염성 (전염성)
아데노바이러스는 감염성이 매우 높습니다.
- 강한 전염력: 재채기, 직접 접촉, 오염된 물건(포마이트) 등을 통해 쉽게 전파됩니다.
- 환경 생존력: 바이러스가 환경 표면(장난감, 수건 등)에서 수 시간에서 최대 수 주 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 지속적인 배출: 증상이 호전된 후에도 바이러스가 수 일에서 수 주 동안 몸에서 배출(shedding)될 수 있어, 증상이 없더라도 전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집단 발병: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군대 등 집단 시설에서 크게 유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및 예방
- 치료: 아데노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특이적인 항바이러스제나 예방 백신은 일반에게 없습니다. 대부분은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 해열제나 안약 등을 사용하는 대증 치료로 호전됩니다.
- 예방 수칙:
가장 중요한 것은 철저한 개인위생 관리입니다.
-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올바르게 손 씻기를 생활화합니다.
-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는 휴지나 옷소매 위쪽으로 입과 코를 가리는 기침 예절을 준수합니다.
- 씻지 않은 손으로 눈, 코, 입을 만지지 않습니다.
- 환자와의 접촉을 피하고, 증상이 있을 경우 집에서 휴식을 취하며 타인에게 전파되지 않도록 합니다.
- 자주 접촉하는 물건이나 표면을 소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