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아이 편식지도법

잘 안먹는 아이 편식 지도법

by @ROHA 2025. 9. 4.
반응형

 

 


아이가 먹는 양이 적고 편식이 심하면 부모님 걱정이 크실 텐데요, 억지로 먹이는 것보다는 아이가 즐겁게 식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식사량이 적고 편식이 있는 아이를 위한 몇 가지 효과적인 지도법입니다.

1. 즐거운 식사 분위기 만들기

아이가 식사에 대해 긍정적인 경험을 갖도록 도와주세요. 식사 시간이 스트레스가 아니라 즐거운 시간이 되도록 만드는 것이 핵심입니다.

  • 식사 시간 규칙 정하기: 식사는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에서 하도록 유도하세요. 식탁에 앉아 식사에 집중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식사 시간은 20~30분 정도로 짧게 정하고, 그 시간이 지나면 미련 없이 식기를 치우세요. "더 먹어야 한다"고 강요하기보다는 다음 식사 시간을 기다리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 긍정적인 반응 보여주기: "골고루 먹어야지!" 같은 잔소리보다는 칭찬과 격려를 많이 해주세요. 아이가 조금이라도 새로운 음식을 먹었다면 "와, 우리 아기가 당근도 먹네! 대단하다!"처럼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세요.

2. 다양한 음식에 대한 흥미 유발

아이가 특정 음식을 거부하는 이유를 찾아내고, 음식에 대한 호기심을 키워주는 활동을 시도해보세요. 식재료에 대한 탐색의 시간을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새로운 음식에 대한 노출: 아이에게 새로운 음식을 억지로 먹이기보다는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노출시켜 주세요. 처음에는 접시에 함께 담아두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여러 번 노출되면 아이의 경계심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조리법 활용: 아이가 싫어하는 채소를 볶음밥, 으깬 감자, 빵 등에 잘게 다져 넣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식감이나 형태를 바꿔주면 거부감 없이 먹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근을 싫어하는 아이에게는 얇게 썰어 볶거나, 주스에 갈아 넣어 색다른 맛을 경험하게 해줄 수 있습니다.
 

3. 아이의 참여 유도 및 선택권 주기

아이가 식사 준비 과정에 직접 참여하면 음식에 대한 친밀감이 높아지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스스로 선택하고 주도하는 느낌을 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 요리 활동 함께하기: 아이와 함께 마트에 가서 직접 채소를 고르고, 집에서 씻고 다듬는 간단한 과정을 함께 해보세요. 직접 만든 요리는 더 맛있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 접시 꾸미기: 밥과 반찬으로 동물이나 캐릭터 모양을 만들거나, 예쁜 모양의 틀을 이용해 음식 모양을 바꿔보세요. 눈으로 보는 즐거움이 아이의 식욕을 자극할 수 있습니다.
  • '스스로 선택'의 기회 주기: 아이에게 "두 가지 채소 중에 어떤 것을 먹고 싶니?"처럼 선택권을 주면, 강요받는다는 느낌 없이 자율적으로 식사할 수 있습니다.

💡 전문가 조언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가 먹는 양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고, 즐거운 식사 시간을 만드는 것입니다. 아이는 스스로 필요한 만큼 먹으려는 본능이 있으므로, 조급해하기보다는 아이의 속도에 맞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식습관 개선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으니, 꾸준한 노력과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