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중이염(Otitis Media) 증상, 원인, 치료 방법
중이염은 고막 안쪽의 공간인 중이(가운데 귀)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주로 감기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며 유소아에게 흔합니다.
1. 주요 증상 (급성 중이염)
- 귀 통증 (이통): 가장 흔하고 두드러진 증상입니다. 감기에 걸린 후 귀가 아프다면 의심해야 합니다.
- 발열: 염증이 심하면 열이 날 수 있으며, 특히 영유아에게 흔합니다.
- 청력 저하 및 이충만감: 중이에 액체가 고여 소리가 잘 안 들리거나 귀가 먹먹한 느낌이 듭니다.
- 이루 (귀에서 고름): 고막이 파열되면 노란 고름이 흘러나올 수 있으며, 이와 함께 통증이 완화되기도 합니다.
- 영유아의 특징적인 행동: 보챔, 수면 장애, 귀를 잡아당기는 행동, 식욕 부진 등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2. 원인
중이염의 주된 원인은 중이와 코를 연결하는 이관(유스타키오관)의 기능 장애입니다.
- 상기도 감염 (감기):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감기로 인해 코와 목에 염증이 생기면 이관이 붓거나 막혀 중이의 분비물 배출이 어려워지고,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투하여 염증을 일으킵니다.
- 어린 연령: 성인에 비해 이관이 짧고 수평적이며 기능이 미숙하여 감염에 취약합니다.
- 기타 위험 요인:
- 간접흡연 노출
- 집단 보육 시설 이용
- 누워서 젖병 수유하는 습관
- 알레르기 질환
3. 치료 방법
중이염의 종류와 증상 정도에 따라 치료법이 결정됩니다. 반드시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약물 치료:
- 통증 조절: 아세트아미노펜, 이부프로펜 등의 진통제를 사용하여 귀 통증과 발열을 완화합니다.
- 항생제: 세균 감염이 확실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또는 경과 관찰 후에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 처방됩니다.
- 경과 관찰 (Watchful Waiting): 경증의 급성 중이염은 2~3일 내에 자연 치유되는 경우가 많아 항생제 사용 없이 증상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 수술적 치료:
- 고막 절개술: 중이 내에 고름이나 삼출액이 많이 고여 통증이 심하거나 합병증 위험이 있을 때 고막을 작게 절개하여 액체를 배출시킵니다.
- 고막 환기관 삽입술: 중이염이 반복되거나(재발성) 삼출성 중이염이 장기간(3개월 이상) 지속되어 청력 저하를 유발하는 경우, 중이의 환기를 위해 고막에 작은 튜브를 삽입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