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궁금증

또래 친구를 무는 아이 대처법

by @ROHA 2025. 9. 8.
반응형

 

또래 친구를 무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또래 친구를 무는 행동은 영아나 유아기 아이들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문제 행동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공격적인 의도라기보다는 미숙한 감정 표현이나 의사소통 방법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행동이 반복되면 습관이 될 수 있고, 물린 아이에게 상처를 줄 수 있으므로 부모의 현명하고 일관된 대처가 매우 중요합니다.


아이가 무는 이유, 무엇일까요?

아이가 왜 무는 행동을 하는지 이해하는 것이 올바른 대처의 첫걸음입니다.

  • 치아 발달 과정: 이가 나거나 잇몸이 간지러운 시기(생후 6~24개월)에 아이들은 무는 행동을 통해 불편함을 해소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딱딱한 것을 씹으며 잇몸의 불쾌한 감각을 완화하려는 본능적인 행동입니다.
  • 탐색 행동: 구강기는 아기들이 입으로 주변 세계를 탐색하는 시기입니다. 손가락이나 장난감을 물어보는 것처럼, 사람에게도 이 행동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물면 상대방이 어떤 반응을 보일까?' 하는 호기심에서 비롯되기도 합니다.
  • 감정 표현의 미숙함: 아이들은 아직 언어 능력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자신의 분노, 좌절, 흥분과 같은 강한 감정을 표현할 방법을 모릅니다. 원하는 장난감을 뺏겼을 때, 혹은 너무 신나서 흥분을 주체하지 못할 때 무는 행동은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는 강력한 수단이 될 수 있습니다.
  • 관심 끌기: 아이가 무는 행동을 했을 때 부모가 크게 놀라거나 즉각적으로 반응하면, 아이는 이 행동이 관심을 끄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학습하게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다른 형제자매나 또래 친구에게 관심이 집중될 때 이러한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충동 조절 능력 부족: 유아는 아직 자신의 충동을 조절하는 능력이 미숙합니다. 원하는 것을 즉시 얻지 못하거나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을 때, 이성을 잃고 즉각적인 반응으로 물게 됩니다.

물 때, 이렇게 대처하세요: 즉각적이고 일관된 반응

아이가 친구를 물었을 때 부모의 즉각적이고 일관된 반응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1. 즉시 행동 중단시키기: 아이가 무는 행동을 했을 때, "안 돼!" 혹은 "물면 아파!"라고 단호하고 낮은 목소리로 말하며 즉시 행동을 멈추게 하세요. 이때 아이의 팔을 부드럽게 잡거나 시선을 마주쳐 아이가 부모의 메시지를 명확하게 인지하도록 돕습니다. 화를 내거나 소리를 지르는 것은 아이에게 오히려 불안감을 줄 수 있으니 삼가야 합니다.
  2. 피해 아이의 감정 읽어주기: 가해 아이에게만 집중하는 대신, 먼저 물린 아이를 안심시키고 감정을 읽어주세요. "친구가 많이 아팠겠다", "친구가 슬퍼하네"라고 말하며 피해 아이에게 공감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이는 무는 아이가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 필수적입니다.
  3. 짧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물면 친구가 아파서 우는 거야", "사람을 무는 건 절대 안 되는 일이야"와 같이 짧고 간단한 문장으로 설명해 주세요. 복잡하거나 장황한 설명은 아이가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4. 대체 행동 알려주기: "화가 나면 '화가 났어요!'라고 말해줄 수 있어",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싶으면 '같이 놀자'라고 말해볼까?"와 같이 무는 행동 대신 다른 방법으로 감정을 표현하거나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도록 가르쳐 주세요. 감정을 통제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하면 비슷한 상황에서 계속 같은 행동을 반복하게 됩니다.

평소에 이렇게 도와주세요: 예방과 긍정적 강화

문제 행동이 발생했을 때뿐만 아니라, 평소의 양육 태도가 문제 해결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 아이의 감정 읽어주기: 평소에 아이가 답답해하거나 흥분했을 때, "우리 아기가 속상했구나", "기분이 너무 좋았구나"와 같이 감정을 말로 표현해 주세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인지하고 언어로 표현하는 것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긍정적인 행동 칭찬하기: 아이가 친구와 사이좋게 놀거나,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등 바람직한 행동을 보일 때마다 아낌없이 칭찬해 주세요. 이는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 물기 방지 용품 활용: 이가 나는 시기의 아이라면 씹을 수 있는 장난감(치발기 등)을 충분히 제공해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친구를 물고 싶을 때 대신 이 장난감을 물어보자"라고 알려줄 수 있습니다.

참고: 이러한 행동들은 아이가 충동을 조절하고,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며,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 데 필수적입니다. 꾸준한 노력과 인내심을 갖고 아이를 지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행동이 지속되거나 다른 발달 지연 증상이 동반될 경우에는 전문가와 상담해 보는 것을 권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