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아이 편식지도법

TV나 스마트폰이 없으면 밥을 먹지 않는 아이 지도법

by @ROHA 2025. 8. 28.
반응형

 

많은 부모가 겪는 고민 중 하나는 아이가 TV나 스마트폰을 보면서만 밥을 먹으려 하는 것입니다. 이는 단순한 습관을 넘어,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전자기기에 의존하는 식사 습관은 아이가 음식의 맛과 질감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하고, 뇌가 포만감을 인지하는 것을 방해하여 과식이나 영양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아이가 스스로 밥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 실용적인 지도법입니다.

1. 식사 시간의 규칙을 정하고 일관성을 유지하세요

가장 중요한 첫걸음은 단호한 규칙을 설정하고 일관성 있게 지키는 것입니다. 식사 시간에는 TV와 스마트폰을 포함한 모든 전자기기를 끄고, 식사에만 집중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처음에는 아이가 반발하고 힘들어할 수 있지만, 부모가 흔들리지 않고 이 규칙을 지속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외를 허용하지 않아야 아이가 이 규칙을 당연하게 받아들이게 됩니다. "밥 먹을 때는 TV 끄는 거야"와 같이 간단하고 명확한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전달하세요.


2. 즐거운 식사 분위기를 만들어주세요

전자기기가 사라진 식탁을 아이에게 지루하거나 고통스러운 시간으로 만들지 않아야 합니다. 대신 즐거운 식사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집중하세요. 아이와 오늘 하루 있었던 일에 대해 이야기하거나, 음식이 만들어진 과정에 대해 설명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이 당근은 토끼가 좋아하는 거야", "엄마랑 같이 만든 김밥 정말 맛있지?"와 같은 대화는 아이가 음식 자체에 흥미를 느끼고 긍정적인 경험을 쌓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온 가족이 함께 식사하며 대화를 나누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아이의 선택권을 존중하고 칭찬해주세요

아이에게 **음식에 대한 선택권**을 일부 주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밥에 김을 싸서 먹을까? 멸치를 올려서 먹을까?"와 같이 간단한 선택지를 제공하여 아이가 식사에 주도적으로 참여한다는 느낌을 받게 하세요. 또한, 아이가 TV 없이 스스로 밥을 잘 먹었을 때는 구체적으로 칭찬해주세요. "TV 안 보고 밥에 집중해서 먹는 모습이 정말 멋지다"와 같은 긍정적인 피드백은 아이의 노력을 인정하고 올바른 행동을 강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4. 식사 시간을 너무 길게 끌지 마세요

아이가 식사에 집중하지 못하고 밥을 가지고 장난치거나 식사 시간이 30분 이상 길어지는 경우에는 단호하게 식사를 마무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밥 먹는 시간이 끝났어. 다음 식사 시간에 다시 먹자"라고 말한 후 식탁을 치우세요. 아이가 배고픔을 느껴야 다음 식사 때 더 잘 먹으려는 동기가 생기기 때문입니다. 처음에는 아이가 떼를 쓰거나 울 수 있지만, 식사 시간이 무한정 길어질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는 간식으로 배를 채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결론

TV나 스마트폰에 의존하는 식사 습관은 단기간에 고치기 어렵습니다. 부모의 인내심과 일관된 노력이 필요합니다. 전자기기를 없애는 것뿐만 아니라, 아이가 식사 자체를 즐거운 활동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식사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이 핵심입니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아이는 음식의 맛과 식감에 집중하며, 올바른 식습관을 형성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