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궁금증

공갈 젖꼭지를 꼭 끊어야 할까요?

by @ROHA 2025. 9. 8.
반응형

 

공갈젖꼭지, 꼭 끊어야 할까요?

공갈젖꼭지를 꼭 끊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아기 성장에 맞춰 적절한 시기에 끊는 것을 권장합니다. 공갈젖꼭지는 아기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제공하며 스스로를 진정시키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기가 지나면 공갈젖꼭지가 아기의 건강과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도 있어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왜 공갈젖꼭지를 끊어야 할까요?

공갈젖꼭지를 너무 오래 사용하면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치아와 구강 발달 문제: 18개월 이후에도 계속 공갈젖꼭지를 물고 있으면, 아기의 앞니가 앞으로 튀어나오거나 위아래 치아가 맞물리지 않는 부정교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는 향후 치아 교정이 필요할 수도 있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언어 발달 방해: 공갈젖꼭지를 물고 있으면 입과 혀의 움직임이 제한되어 발음 연습이 어려워집니다. 이로 인해 언어 발달이 늦어지거나 특정 발음이 부정확해질 수 있습니다.
  • 중이염 위험 증가: 공갈젖꼭지를 빨 때 침이 삼켜지면서 이관(귀와 코를 연결하는 통로)에 압력이 가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중이염에 걸릴 확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공갈젖꼭지 끊기, 언제 시작하면 좋을까요?

공갈젖꼭지를 끊는 가장 좋은 시기는 12개월에서 24개월 사이입니다. 이 시기에는 아기가 젖꼭지에 대한 의존도가 자연스럽게 줄어들고, 언어와 치아 발달이 본격적으로 시작되기 때문입니다.

  • 돌 이전 (12개월 미만): 이 시기에는 아기가 젖꼭지를 통해 심리적 안정감을 얻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시기의 사용은 구강 발달에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 18개월 이후: 18개월이 지나면 앞서 언급한 문제들이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전문가들은 이 시기부터는 적극적으로 공갈젖꼭지를 끊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공갈젖꼭지를 끊는 효과적인 방법

아기에게 스트레스를 주지 않고 점진적으로 시도하는 것이 성공의 핵심입니다.

  1. 점진적으로 사용 줄이기: 갑자기 젖꼭지를 빼앗는 대신, 낮 시간 동안에는 사용을 줄이고 잠잘 때나 심하게 보챌 때만 사용하도록 제한합니다.
  2. 다른 대체품 활용: 아기가 젖꼭지를 찾을 때, 공갈젖꼭지 대신 애착 인형이나 담요를 주어 안정감을 느끼게 해 주세요. 아기가 좋아하는 새로운 장난감을 소개해주거나, 책을 읽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긍정적인 격려: 공갈젖꼭지 없이도 잘 지내는 모습을 보일 때마다 "우리 아기가 젖꼭지 없이도 잘 놀고 있네!"와 같이 칭찬과 긍정적인 격려를 아낌없이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4. "졸업"의 개념 활용: 조금 더 큰 아이라면 "이제 젖꼭지가 필요 없는 멋진 형/누나가 될 시간이야"와 같이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스스로 젖꼭지와 작별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

공갈젖꼭지를 끊는 과정은 아기마다 다를 수 있으며, 인내심이 필요합니다. 만약 아기가 너무 힘들어하거나 어려움을 겪는다면, 소아과 의사나 육아 전문가와 상담하여 아기에게 맞는 방법을 찾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