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육아 궁금증

사춘기 아이가 자주 눈을 깜박거려요.

by @ROHA 2025. 10. 4.
반응형

 

사춘기  눈 깜빡임 증상과 대처 방법

중학교 2학년 학생이 눈을 심하게 깜빡이는 증상은 **틱장애(Tic Disorder)의 가장 흔한 초기 증상**일 수 있으며, 사춘기의 스트레스로 인해 증상이 악화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눈 자체의 문제일 가능성도 있으므로, 두 가지 가능성을 모두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병원 진료: 원인 확인이 가장 중요합니다

증상을 정확히 확인하고 적절한 대처를 시작하기 위해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① 안과 검진 (신체적 원인 확인)

가장 먼저 **눈 자체에 불편함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알레르기 결막염: 눈이 가렵거나 이물감이 느껴져 깜빡임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안구 건조증: 스마트폰, 컴퓨터 등을 오래 사용할 때 눈이 건조해져 깜빡임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안검내반 (속눈썹 찔림): 속눈썹이 눈을 찔러 지속적인 자극을 유발하는 경우입니다.

②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틱장애 확인)

안과 검진에서 이상이 없는데도 증상이 지속되거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악화된다면 **틱장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틱장애는 아이의 **의지대로 조절하기 어렵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눈 깜빡임 외 다른 틱 증상(코 킁킁거림, 헛기침 등)이 동반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2. 부모님의 올바른 대처 방법

눈 깜빡임이 틱장애로 진단될 경우, 부모님의 태도가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① 틱 증상에 무관심하세요

  • 절대 야단치거나 지적하지 마세요. "하지 마라," "참아라"는 명령은 아이에게 스트레스를 주어 증상을 **악화**시킵니다.
  • 틱 증상이 나타날 때 **지나치게 걱정하거나 관심을 보이지 말고**, 평소와 똑같이 대하는 것이 좋습니다.

② 스트레스를 관리하고 편안함을 주세요

  • **충분한 수면 시간**을 확보해 주세요.
  • **과도한 학업 부담**을 일시적으로 줄여주고, 잔소리 없이 **가정 분위기를 편안하게** 조성해 주세요.
  • **스마트폰, 컴퓨터 게임, TV 시청** 등 흥분을 유발하는 시각적 자극은 사용 시간을 제한해 주세요.

③ 아이의 자존감을 지켜주세요

  • 틱 증상 자체보다 **아이의 노력이나 긍정적인 행동**을 칭찬해 주세요.
  • 아이가 좋아하는 **규칙적인 운동**이나 **취미 활동**을 통해 성취감을 느끼고 틱 증상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 아이와 자주 대화하여 **심리 상태를 파악**하고 공감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틱장애가 심할 경우의 전문 치료

증상이 심하여 일상생활에 방해를 줄 경우 전문적인 치료를 병행합니다.

행동 치료: 틱이 올라오려는 느낌을 인식하고, 틱 대신 **다른 경쟁적인 행동**을 하도록 훈련하는 **습관 역전 기법(HRT)**이 효과적입니다.

약물 치료: 증상이 심각할 경우, 전문의 판단하에 틱 증상을 조절하는 약물을 복용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안과와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은 후, 가정에서는 아이를 다그치지 않고 심리적 안정을 돕는 것이 가장 좋은 대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