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 아이 편식지도법

잡곡밥· 고기는 잘 먹지 않는 아이, 편식 지도법

by @ROHA 2025. 9. 4.
반응형

안녕하세요. 자녀가 잡곡밥이나 고기를 잘 먹지 않아서 걱정이 많으시군요. 아이의 건강을 생각하는 부모의 마음은 다 똑같을 겁니다. 아이의 식습관을 개선하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지만, 꾸준한 노력과 긍정적인 접근을 통해 충분히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몇 가지 효과적인 방법들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1. '숨기기' 기술로 거부감 줄이기

아이가 특정 음식을 싫어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익숙하지 않은 식감이나 향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럴 때는 아이가 좋아하는 음식과 함께 자연스럽게 섞어주는 '숨기기' 기술이 효과적입니다.

  • 잡곡밥: 처음부터 잡곡의 비율을 높이지 마세요. 흰쌀밥에 잡곡(현미, 찹쌀 등)을 10% 정도만 섞어 서서히 적응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콩처럼 딱딱한 잡곡은 푹 불리거나 으깨서 넣으면 거부감을 줄일 수 있습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볶음밥이나 주먹밥을 만들 때 잡곡밥을 활용하거나, 채소를 잘게 다져 섞어주면 맛과 영양을 동시에 잡을 수 있습니다.
  • 고기: 고기 특유의 냄새나 질긴 식감 때문에 싫어하는 아이가 많습니다. 고기를 잘게 다져서 동그랑땡, 떡갈비, 또는 만두소로 활용해 보세요. 아이가 좋아하는 채소(양파, 당근)와 함께 섞어주면 식감도 부드러워지고 채소까지 자연스럽게 먹일 수 있습니다. 닭가슴살을 얇게 찢어 샐러드나 샌드위치에 넣어주거나, 소스를 활용하여 냄새를 덮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오감 만족! 즐거운 식사 분위기 만들기

식사 시간을 의무가 아닌 즐거운 경험으로 만들어주면 아이의 음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집니다.

  • 함께 요리하기: 아이와 함께 요리하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밥 짓기, 채소 씻기 등 간단한 과정에 참여시키면 아이는 자신이 만든 음식을 더 맛있게 느낍니다. 이 과정을 통해 음식 재료에 대한 친밀감도 형성됩니다.
  • 재미있는 모양으로 변신: 밥이나 반찬을 캐릭터 모양으로 만들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색깔의 식재료를 사용해 식판을 꾸며주세요. 알록달록한 모양의 음식은 아이의 호기심을 자극하여 '먹고 싶다'는 마음을 들게 합니다.
  • 칭찬과 격려: 아이가 잡곡밥 한 숟가락, 고기 한 점이라도 먹는다면 크게 칭찬해 주세요. "우리 OO가 고기 한 조각을 먹었네! 정말 잘했어!"와 같은 긍정적인 표현은 아이에게 성취감을 주고 다음 식사에도 시도하게 만드는 원동력이 됩니다.

3. 부모의 마음가짐이 가장 중요해요

아이의 식습관을 바꾸는 것은 단기간에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때로는 아이가 거부하더라도 실망하거나 억지로 먹이려 하지 마세요. 억지로 먹이는 것은 식사에 대한 부정적인 경험을 심어줄 수 있습니다. 꾸준한 시도와 인내심을 가지고, "다음에 다시 먹어볼까?"라고 부드럽게 이야기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건강한 식습관은 아이의 평생 건강을 좌우하는 중요한 부분이므로, 조급해하지 마시고 즐거운 마음으로 접근해 주세요.

부모님의 작은 노력이 아이의 식습관을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큰 힘이 될 것입니다. 힘내세요! 혹시 또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 편하게 물어보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