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유아의 코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 코 점막에 상처를 입히거나 이물질이 더 깊이 밀려 들어갈 위험이 크므로 신중하게 대처해야 합니다.
1. 이물질 제거 시도 (제한적)
유아가 협조적이고 이물질이 크지 않을 때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 코 풀기 유도: 아이에게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은 반대쪽 콧구멍을 손가락으로 막고, 입을 다문 채 "흥!" 하고 세게 코를 풀도록 지도합니다.
- 주의사항: 아이가 코를 풀 줄 모른다면 오히려 이물질을 흡입할 위험이 있으니 무리하게 시키지 않습니다.
- 재채기 유도: 코에 휴지나 면봉 등으로 가볍게 자극을 주어 재채기를 유도해 이물질이 나오도록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2. 절대 피해야 할 행동
유아 코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보호자가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입니다.
- 억지로 꺼내려 하지 마세요: 핀셋, 면봉, 손가락 등 도구를 사용하여 억지로 이물질을 빼내려 하면 점막에 상처를 입히거나, 이물질이 더 깊숙이 들어가 기도를 막거나 폐로 넘어갈 위험이 있습니다.
- 무리하게 코를 풀게 하지 마세요: 아이가 코 풀기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이물질이 귀(중이)로 역류하거나 더 깊숙이 밀려 들어갈 수 있습니다.
- 등 두드리기: 이물질이 코를 통해 폐로 들어갈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피해야 합니다.
3. 즉시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가정에서의 응급처치를 중단하고 즉시 이비인후과 또는 응급실을 방문해야 합니다.
- 둥글고 부피가 큰 이물질: 콩, 구슬, 플라스틱 총알 등 둥글거나 부피가 큰 고체가 들어갔을 경우.
- 건전지: 특히 작고 동그란 단추형 건전지(수은 전지)가 들어갔을 경우, 화학 물질로 인해 심각한 손상(화상)이 발생하므로 즉시 응급실로 방문해야 합니다.
- 이물질 제거가 되지 않을 때: 코 풀기 시도 후에도 이물질이 나오지 않고 육안으로도 확인될 때.
- 악취 또는 분비물: 이물질이 들어간 지 며칠이 지나 한쪽 코에서만 악취가 나거나 피가 섞인 고름 같은 분비물이 나올 때.
- 호흡 곤란: 아이가 호흡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코피가 지속적으로 날 때.
결론적으로, 유아의 코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때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은 섣불리 제거를 시도하지 않고 즉시 이비인후과나 응급실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입니다.
반응형
'영유아 응급처치 및 위기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상처의 종류별 응급처치 (0) | 2025.10.23 |
|---|---|
| 타박상(멍) 발생 시 응급처치_RICE요법 (0) | 2025.10.23 |
| 유아의 눈에 이물질이 들어갔을 경우 응급처치 (0) | 2025.10.23 |
| 유아가 약물을 삼켰을경우 응급처치 (0) | 2025.10.21 |
| 영유아 기도 폐쇄 응급처치 (0) | 2025.10.21 |